첫째날
공항에서 숙소로 가는 택시에서 사기를 당했다. 150k면 충분한 거리에 800k(4만원 정도)를 물렸다. 무서워서 뭐라 하지도 못하고 그냥 줘버리고 나왔다. 아, 베트남 택시가 서울보다 비싸구나 하고 위안해봐도 도무지 분이 안 풀린다. 나중에 안 사실인데 메일린, 비나선 택시는 관리가 잘 되어서 사기치는 일이 없다고 한다. 하지만 비나선을 탔을 때도 잔돈이 없다며 120k 나왔는데 200k 뜯겼다. 내가 사기치기 좋게 생겼나보지? 망할.
첫 날은 자정쯤 공항에서 빠져나와 바로 잠 자러 갔다. 숙소가 위치한 부이비엔은 개 미친 곳이다.
강남역 술집거리같은 느낌인데 기껏해야 아홉 살 되 보이는 꼬마가 양 손에 불을 들고, 입에서 불을 뿜으며 돈을 구걸하고 있었다. 금요일 밤 강남역보다 두 배는 밀도가 높은 이 거리를 지날 때 마다 전봇대에 기댄 아재들이 손바닥에 감춘 마리화나를 보이며 호객했다. 펍과 클럽에선 너도나도 아산화질소가 든 풍선을 손에 들고 단명하려는 사람들이 즐비했다. 마리화나든 해피벌룬이든 속인주의에 의해 한국인이 하면 한국법으로 처벌받는다. 아시겠죠 여러분? 절대 하지 마셔요.
이 도시는 소음 제한이라는 개념이 없나봐. 라운지 펍과 클럽에서 누구네 스피커가 출력이 좋은지 대결이라도 하는 듯 하는 통에 새벽 세시까지 잠들 수 없었다.
둘째날
두 시간 정도 자곤 일어나 무이네로 향하는 버스를 탔다. 다섯시간 되는 거린데 이층침대가 가득 찬 버스라 힘들진 않았다. 같이 간 친구는 똥이 마렵다며 앓는 소리를 했지만 큰 사고(?) 없이 무이네에 도착할 수 있었다.
요정의 샘물이라는 곳에 갔다. 아 좋네. 영어를 쓰는 백인이 나한테 니하오 하며 지나간다. 참나 어이가없네. 베트남에서 한국인한테 중국인사를 건네는 레이시즘을 멈춰주세요 백인이여.
다른 백인은 내게 이 길 끝의 폭포까지 가려면 얼마나 더 가야하는지 물었고 나는 파입투텐미닛ㅊ라고 답했다. 아 좀 대견하다^^. 아님 말고.
숙소로 돌아와 수영장에 몸을 담갔다. 아 좋네. 그러곤 잤다가 다시 다섯시간을 달려 호치민으로 돌아왔다. 아니 동선 효율 무엇?
셋째날
그냥 숙소에서 쉬었음. 밤에 무슨 짜장면 맛이 나는 중국에서 유래된 베트남 국수를 먹고 커피 마시고 집 들어와서 스위치로 디아블로 하다가 부이비엔에서 맥주 마시고 다시 집가서 잤음. 어딜가든 하이네켄을 파는데 편의점에서 350ml 하이네켄 한국돈 천백원에 팜. 주류세가 없나봐.
넷째날
일어나서 왕뚜껑 하나 먹고 오후 네 시까지 잤다. 일어나서 유튜브 보다가 부이비엔 나가서 클럽엘 갔는데 내가 유흥을 즐기러 온건지 뭣 하러 온건지 모르겠지만. 여행 계획 짜는 데 내가 관여한 게 단 하나도 없으니 볼멘소리는 못 했다. 현지 선곡 수준은 천차만별이었음. 제대로 된 음악을 튼 곳은 딱 한 곳이었는데 (소신발언) 홍머 짭 디제이보다 나았음. 나머지 클럽에선 케이팝을 틀어대는 통에 괴로웠다. 빅뱅, 블랙핑크, 모모랜드. 대체 숀은 어떻게 알고 트는거지?
마지막 날
친구가 현지 친구를 사귀어서 현지 친구가 로컬 밥집에 데려다 줬는데 데친 채소가 나왔다. 아 맛있네. 이런 맛이면 채소를 잘 먹을 수 있을텐데. 건강한 맛은 아니다. 삼시세끼 이 걸 먹는다면 염분에 쩌들어 죽을테다.
그러곤 정자역이랑 비슷한 분위기의 동네로 가서 커피 마시면서 우노 했는데 빈부격차 오지게 느낌. 차로 10분 거리 떨어졌을 뿐인데 관리 잘 된 주상복합 아파트, 다 허물어져가는 벽돌집 갭이 상상초월.
마치며
케이팝은 어딜 가도 있다. 우리 문화는 체감보다 크게 베트남을 지배하고 있었다.
식사를 마치고 커피를 마시기 위해 들어간 대형 몰에서 케이팝이 나오는 건 아무래도 자연스러웠지만, 플레이스테이션 매장에서 나오는 버블팝은 강렬했다. 직원들이 저스트 댄스 2019의 버블팝을 추고 있었다. 아 이 곡이 이렇게나 좋았었나. 내가 베트남에서 얻은 것 중 가장 큰 것은 버블팝을 리마인드 한 일일 것이다. 버블버블버블 팝 버블버블 팝 팝
귀여운 동물 모음집